Working languages:
English to Korean
Italian to Korean
Korean to English

SANG TAE KIM
En.-Ita.-Kor. High Quality Translations

Seoul, Soul-t'ukpyolsi, South Korea
Local time: 16:31 KST (GMT+9)

Native in: Korean (Variant: South Korea) 
  • PayPal accepted
  • Send message through ProZ.com MSN IM
Feedback from
clients and colleagues

on Willingness to Work Again info
2 positive reviews
Account type Freelance translator and/or interpreter, Identity Verified Verified site user
Data security Created by Evelio Clavel-Rosales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Services Translation, Interpreting, Editing/proofreading, Project management
Expertise
Specializes in:
Business/Commerce (general)Poetry & Literature
Telecom(munications)Computers (general)
General / Conversation / Greetings / LettersHistory
Human ResourcesMarketing / Market Research
Cinema, Film, TV, DramaLaw: Contract(s)

Rates

All accepted currencies U. S. dollars (usd)
KudoZ activity (PRO) PRO-level points: 8, Questions answered: 8
Project History 1 projects entered    1 positive feedback from outsourcers

Blue Board entries made by this user  2 entries

Payment methods accepted Wire transfer, PayPal
Portfolio Sample translations submitted: 3
English to Korean: 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on the Distribution and Use of Pesticides
General field: Other
Detailed field: International Org/Dev/Coop
Source text - English
1. Introduction

Registration of pesticides is the process by which authorities (e.g. national governments or regional authorities) approve the sale and use of a pesticide after evaluation of comprehensive scientific data demonstrating that the product is effective for its intended purposes and does not pose an unacceptable risk to human or animal health or the environment. Registration also involves regular or unscheduled review of previously registered pesticides to determine whether they still meet the requirements. A re-evaluation may be made after relevant new information has become available, when criteria are being adjusted or after a predetermined interval has passed since initial registration.
Governments should introduce the necessary legisl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pesticides. This should include establishment of a registration procedure, on the principle that the sale and use of pesticides that have not been registered are prohibited. Furthermore, governments should make provision for effective monitoring and enforcement of pesticide regulatio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licensing and inspection schemes for importers and retailers.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procedures suited to their requirements and not necessarily adopt all the elements of comprehensive regulatory schemes in place in countries with more extensive resources.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criteria should take full account of local circumstances and need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literacy, climatic conditions and the availability of appropriate and affordable pesticide application and protective equipment.
Certain data requirements may also differ if the conditions of use of a product are likely to be different among registering countries or regions because of the effect of climatic conditions on pest species, pest life-cycles, possible application methods or likely exposure. Although the requirements should be tailored to the conditions of the registering country, many data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will be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country or situation. This is the case, for instance, for many toxicity data, as outlined below.
These guidelines generally focus on the scientific data and other information that may be required to determine what products can be permitted for use and for what purposes. The data and other information described can be used to register all types of pesticides, including public health pesticides. Section 4.1 describes the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required and why; section 4.2 shows how the data may be used in decision-making; and section 4.3 explains factors that affect data requirements. The guidelines also address some special situations (section 5): biological pest control agents, emergency approvals and experimental use. The annexes provide comprehensive lists of recommended data requirements.
The data requirements presented in this document and its annexes are based on those required by advanced regulatory authorities, such as those of Canada,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6]. The requirements are extensive, and Member States may find it impractical to require and review all the data listed in the annexes. Nevertheless, as described in the 2010 FAO/WHO Guidelines for the registration of pesticides [1], transparency and exchanges of information among responsible authorities in the pesticide registration process and during collection and review of data should be promoted to avoid duplication of efforts and to minimize the use of test animals, among other efficiency measures.
Governments and responsible authorities should facilitate such exchanges of information and should, when possible, use data that are in the public domain and, preferably, have been peer-reviewed, when considering a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Further, when possible and appropriate, mutual acceptance of data and mutual recognition of registrations within regional harmonized systems should be encouraged. Registration in the country of origin should not, however, be a requirement when mutual recognition of registration is not sought. The concept of work-sharing and data-sharing is discussed further in section 4.3.5.
These guidelines wer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6 of the 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on pesticides management (Regulatory and technical requirements) [7] and under the umbrella pesticide registration guidelines, the FAO/WHO Guidelines for the registration of pesticides [1].


2. Scope and objectives

These guidelines are intended to:
• describe the scientific data and information that may be needed to allow governments to evaluate pesticides for the purpose of their registration. This information will help countries to ensure that all pesticides used in any sector, including agriculture and public health, are effective for their intended purpose and do not pose an unacceptable risk to human or animal health or the environment;
•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data and submission of applications for pesticide registration in Member States;
• describe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in which different types of requirements are appropriate and guide countries in deciding what data to require; and
• further harmonize the data requirements for pesticide registration.

The guidelines do not address the data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such as predators, parasitoids and microbial pest control agents.


3. Responsibilities

Different sectors have different responsibilities with regard to data generation, identification of data requirements, satisfaction of data requirements and ensuring that the data generated to support pesticide registration are of high quality, authentic and useful for registration and re-registration. The responsibilities are set out in the Code of Conduct [7].
The pesticide industry should:
• ensure that each pesticide and pesticide product is adequately and effectively tested by recognized procedures and test methods so as to fully evaluate its inherent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properties, efficacy, behaviour, fate, hazard and risk with regard to the various anticipated uses and conditions in regions or countries of use [Article 4.1.1 of the Code of Conduct];
• ensure that such tests a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ound scientific and experimental procedures, and the principles of good laboratory and experimental practice [Article 4.1.2];
• make available copies or summaries of the original reports of such tests for assessment by responsible government authorities in all countries where the pesticide is to be offered for sale or use. If translated documents are provided, their accuracy should be certified [Article 4.1.3];
• ensure that the proposed use, label claims and directions, packages, safety data sheets, technical literature and advertising truly reflect the outcome of these scientific tests and assessments [Article 4.1.4];
• provide, at the request of a country, methods for the analysis of any active ingredient, co-formulant or relevant impurity or formulation that they manufacture, and provide the necessary analytical standards [Article 4.1.5];
• provide advice and assistance in the training of technical staff involved in the relevant analytical work. Formulators should actively support this effort [Article 4.1.6]; and
• conduct residue trials prior to marketing, at least in accordance with Codex Alimentarius and FAO guidelines on good analytical practice and on crop residue data,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maximum residue limits [Article 4.1.7].

Governments should:
• establish pesticide registration schemes and infrastructures under which each pesticide product is registered before it can be made available for use [Article 6.1.4];

•conduct risk evaluations and make risk management decisions based on all relevant available data and information, as part of the pesticide registration process [Article 6.1.5];
• promote the advantages of, and cooperate with other governments in, the establishment of harmonized (regionally or by groups of countries) pesticide registration requirements, procedures and evaluation criteria, taking into account appropriate, internationally agreed technical guidelines and standards, and, where possible, incorporate these standards into national or regional legislation [Article 6.1.8]; and
• allow for re-evaluation and establish a re-registration procedure to ensure the regular review of pesticides, thus ensuring that prompt and effective measures can be taken if new information or data on the performance or risks indicate that regulatory action is needed [Article 6.1.9].
Each country should possess, or have access to, facilities to verify and exercise control over the quality of pesticides offered for sale or export, to establish the quantity of the active ingredient or ingredients and the suitability of their formulation, according to FAO or WHO recommended specifications or national specifications, when available. Where a country lacks suitable facilities, access to laboratories in another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Article 4.2].
Exporting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hould play an active role in assisting developing countries in training personnel and providing guidance on the design and conduct of trials, th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test data, and risk/benefit analysis. They should also promote maximum availability to, and use by developing countries of, appropriate international, regional and national assessments and evaluations of pesticide hazards and risks [Article 4.4].
The pesticide industry and governments should collaborate in post-registration surveillance and conducting monitoring studies to determine the fate of pesticides and their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under operational conditions [Article 4.5].


4. Data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esticides
4.1 Types of data and information
4.1.1 Introduction
The data required to support an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should cover all relevant aspects of the product, from manufacture to use and ultimate disposal. The following sections explain the categories of data and information that are required: information on the proposed application; data to identify the product (identity, composition, analysis); data to assess risks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and data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product. This information will help countries to determine whether and when these data may be applicable for the pesticide regulatory decisions it has to make. These sections apply to all pesticides, including the biochemical pesticides described in section 5.
Tiered approach to data requirements
Generally, countrie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pesticide and uses being proposed to determine the data required. In evaluating pesticide products, many responsible authorities apply a tiered or step-wise approach to evaluation and data requirements. In this approach, a more limited data set is required in a first submission by an applicant. If, on the basis of the limited data set, assessments of efficacy, residues, hazard, and human and environmental risk show that the product is acceptable for registration, no further data will be required. If, however, the limited data set does not allow a conclusive assessment, either additional data are requested from the applicant for the areas that require further evaluation (e.g. more specific toxicity studies, more precise exposure data or larger-scale efficacy trials), or measures are put in place to limit the proposed uses of the product in order to prevent the identified risks or address other uncertainties. Such mitigation measures can include a reduction in the allowable use rate in order to reduce potential exposure, establishment of buffer zones around surface water as a condition of use to protect water resources, or a requirement that users wear protective clothing. A step-wise or tiered assessment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a final decision on registration is made. This is a good example of how data and information requirements can change on a case-by-case basis.
Tiered assessments and data requirements have many advantages. For example, the time and costs for the applicant and for the responsible authority are reduced, as only the data necessary for a final decision are submitted by the applicant and evaluated by the responsible authority. This approach requires efficien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applicant and the responsible authority.
Translation - Korean
1. 도입

농약 등록은 특정 농약 제품이 그 의도된 목적에 맞게 효과적이며 인간이나 동물의 건강, 환경에 받아들일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광범위한 과학적 자료의 평가 이후 공공 기관(예: 국가 정부나 지역 관청)이 해당 농약의 판매와 사용을 허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등록에는 또한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들이 요구사항을 아직도 충족시키고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재심사도 포함된다. 새로운 관련 정보가 입수된 경우, 심사 기준이 조정되었거나 첫 등록 이후 지정된 기간이 지난 때에는 재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정부는 농약의 등록을 위한 필요한 입법절차를 도입해야 한다. 등록되지 않은 농약의 판매 및 사용을 금지한다는 원칙하에 등록 절차를 확정하는 일도 이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수입자와 소매상을 위한 허가 및 검사 계획의 수립을 포함한, 농약 규제법률에 따른 효과적인 감독과 시행을 위한 규정도 만들어야 한다. 정부는 필요한 요구사항에 적합한 절차를 수립해야 하며, 매우 방대한 정보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의 경우, 적절해 보이는 규제 계획이라 하더라도 광범위한 계획 전체를 그대로 적용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등록 기준에는 지역적 환경 및 필요, 사회적 및 경제적 조건, 교육 수준, 기후 조건, 그리고 적절하고도 이용 가능한 농약 신청 및 보호 장비의 유용성도 온전히 고려해 넣어야 한다.

유해물질의 종에 대한 기후 조건의 영향이나 유해물질의 생명주기, 신청방법이나 노출 가능성 등에 기인하여 등록 국가나 지역 간에 있어서 특정 제품의 사용 조건이 다를 수 있는 경우, 일부 자료 요구사항 또한 다를 수 있다. 자료 요구사항이 등록 국가의 상황에 맞추어져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등록을 위한 요구사항의 상당 부분은 국가나 상황에 상관없이 그대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 예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많은 독성 자료에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침들은 대개 사용을 위해 어떠한 제품이 허가될 수 있고 어떠한 목적으로 허가 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요구될 수 있는 과학적 자료와 기타 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당 자료와 기타 정보는 공공 보건용 농약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농약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1항에서는 요구되는 자료 및 정보의 유형과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따르며, 4.2항에서는 의사결정에 있어서 자료가 어떻게 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4.3항에서는 자료 요구사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동 지침들은 또한 일부 특정 상황에 대해서 다룬다(5장): 생물학적 유해물질 관리 약품 및 비상시 사용 허가, 실험용 사용에 대해 다룬다. 부속서에는 권고 자료 요구사항과 관련된 광범위한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본 문서와 그 부속서에 제시되어 있는 자료 요구사항은 캐나다와 유럽연합, 미국과 같은 선진국 규제 당국들이 요구하는 요구사항에 기초한 것이다[1-6]. 해당 요구사항이 너무도 방대해서, 회원 국가들은 부속서에 제시되어 있는 모든 자료들을 요구하고 심사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 FAO/WHO 농약 등록을 위한 지침’[1]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노력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고 기타 효율적 조처 외에도 실험동물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농약 등록 과정과 자료 수집 및 검토에 있어서 책임 기간 간의 정보의 투명성과 교환은 증진되어야 한다.

정부와 책임 기관은 등록 신청에 대한 검토 시 정보의 교환이 쉽도록 해야 하고, 가능한 한 공공 도메인상의 자료를 이용하며, 되도록이면 같은 분야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친 자료를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가능하고 적절한 경우, 일원화된 지역 체계 내에서 자료를 상호적으로 수용하고 등록을 상호적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그러나 등록을 상호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산지 국가 내에서의 등록 조건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 업무 분담과 자료 공유의 개념에 대해서는 4.3.5항에서 보다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이 지침들은 ‘농약 관리에 관한 국제 행동 규약(규제 및 기술 요구사항)’[7] 제6조 및 포괄적인 농약 등록 지침인 ‘FAO/WHO 농약 등록을 위한 지침’[1]에 따라 작성되었다.


2. 적용범위 및 목적

본 지침들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정부가 농약 등록을 위해 평가를 실시하는 데 필요로 하는 과학적 자료와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정보는 농업과 공공 보건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체의 농약이 그 의도된 목적에 맞게 효과적이며 인간이나 동물의 건강, 환경에 받아들일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국가들이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회원 국가들 내에서 농약 등록을 위한 자료 생성과 신청서 제출을 용이하게 한다.

• 서로 상이한 형태의 요구사항들이 적절하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과 조건에 대해 설명하고, 국가들이 어떠한 자료를 요구해야 할지 결정하는 데 있어서 안내자 역할을 한다.

• 농약 등록을 위한 자료 요구사항을 한층 더 일원화한다.

본 지침들은 육식 동물이나 의사 기생충, 미생물 유해물질 관리 약품과 같은 생물학적 관리 약품의 등록을 위한 자료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3. 책임

자료 생성 및 자료 요구사항에 대한 확인, 자료 요구사항의 충족, 그리고 농약 등록을 지원하기 위해 생성된 자료가 양질의 것이고 근거가 확실하며 등록과 재등록을 위해 유용함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하여 분야가 다른 경우에는 그 책임도 달라진다. 책임에 대해서는 ‘행동 규약’[7]에서 설명하고 있다.

농약 업계는:

• 사용 지역이나 국가 내에서의 예상되는 다양한 용도와 조건과 관련하여, 개별 농약의 고유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효용, 작용, 거동, 위험요소, 위험도에 대해 충분히 평가할 수 있도록, 검증된 절차와 시험 방법에 따라 농약과 농약 제품을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 보장해야 한다[행동 규약 제4.1.1조].

• 동 시험들이 안전한 과학적 실험 절차와 GLP 원칙에 따라 실시되도록 보장해야 한다[제4.1.2조].

• 농약이 판매되거나 사용될 모든 국가 내에서 책임 정부 기관이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시험 원본 보고서의 사본이나 요약본을 이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번역된 문서가 제공되는 경우, 그 정확성에 대한 공인을 받아야 한다[제4.1.3조].

• 제시된 용도, 라벨상 기재사항 및 설명, 포장, 물질안전보건자료, 기술 안내사항, 광고는 해당 과학적 시험과 평가의 결과를 충실히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제4.1.4조].

• 특정 국가가 요청하는 경우, 업체들이 제조하는 모든 활성 성분이나 부형제 혹은 관련 불순물이나 제제의 분석을 위한 방법을 제공해야 하며, 필요한 분석 표준도 제공해야 한다[제4.1.5조].

• 관련 분석 작업에 투입되는 전문 인력의 훈련에 있어서 도움과 원조를 제공해야 한다. 제제 담당자들은 이러한 노력을 능동적으로 지원해야 한다[제4.1.6조].

• 적절한 MRL 설정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국제식품규격과 효과적인 분석 실행 및 농작물 잔류물 자료에 관한 FAO 지침에 따라, 마케팅 이전에 잔류물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제4.1.7조].

정부는:

• 농약 제품이 사용을 위해 유통되기 이전에, 농약 등록 계획을 세우고 각 제품이 등록되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제6.1.4조].

• 농약 등록 과정의 일부로서, 위험 평가를 실시하고 입수 가능한 모든 관련 자료와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 관리 결정을 내려야 한다[제6.1.5조].

• 적절하고도 국제적으로 합의된 기술 지침과 표준을 고려하여, (지역 혹은 국가 단체들에 의해) 일원화된 농약 등록 요구사항과 절차, 평가 기준의 설정으로부터 오는 이익을 증진시키며, 그 설정 과정에 있어서 타 정부들과 협력하고, 가능한 경우에는 동 표준을 통합하여 국가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입법화하도록 한다[제6.1.8조].

• 재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고, 농약에 대한 정기 재심사가 보장될 수 있도록 재등록 절차를 수립하여, 농약의 기능이나 위험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자료를 통해 규제 행위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는 경우 즉각적이고도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제6.1.9조].

각 국가는 가능한 경우 FAO나 WHO가 권고하는 사양이나 국가별 사양에 따라 활성 성분의 양을 정하고 그 제조법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판매나 수출용으로 제공된 농약의 품질을 검증하고 관리하는 시설을 보유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정 국가에 적합한 시설이 없는 때에는 다른 국가에 있는 실험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제4.2조].

수출하는 국가의 정부와 국제 기구는 인력의 양성훈련은 물론 시험 계획 및 수행, 시험 자료에 대한 판단 및 평가, 위험도/이익 분석을 위한 지침을 제공함과 관련하여 개발도상국들을 원조함에 있어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농약의 위험요소와 위험도에 관한 적절한 국제적 및 지역적, 국가적 평가와 판정의 자료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해당 자료의 개발도상국 이용률이 극대화되도록 촉진시켜야 한다[제4.4조].

농약 업계와 정부는 농약으로 인한 인과 관계와 작용 조건하에서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등록 후 감독 활동과 감시 노력을 함에 있어서 서로 협력해야 한다[제4.5조].


4. 농약 등록을 위한 자료 요구사항
4.1 자료 및 정보의 유형
4.1.1 도입

등록을 위한 신청을 지원하는 데 요구되는 자료에는 제조부터 사용 및 최종 처분까지 제품의 모든 측면을 고려한 자료가 포함된다. 이하 항들에서는 요구되는 자료와 정보의 범주에 대한 설명이 따른다: 제출된 신청건에 대한 정보; 제품을 식별하는 데 필요한 자료(제품의 고유성 및 조성, 제품에 대한 분석); 인간과 환경에의 위험도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 제품의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 이러한 정보는 국가들이 내려야 하는 농약 규제 결정을 위해 해당 자료가 적용 가능한지 여부와 또한 언제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항들의 내용은 5항에서 설명되고 있는 생화학 농약을 포함한 모든 농약에 적용된다.

자료 요구사항에의 단계적 접근

일반적으로, 국가들은 어떠한 자료를 요구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농약과 제시된 용도에 대해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농약 제품을 평가함에 있어서 많은 책임 기관들은 평가와 자료 요구사항에 단계적 혹은 순차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신청자가 최초 자료 제출 시 상대적으로 제한된 자료만을 요구하게 된다. 제한된 자료에 기초하여 제품의 효력과 잔류물, 위험요소, 인간과 환경에 대한 위험도와 관련하여 실시한 평가의 결과가 등록을 위해 받아들일 만하다고 나타나는 경우, 추가 자료는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한된 자료만으로 실시한 평가를 통해 최종 결론이 나지 않는 경우, 확인된 위험을 미리 예방하거나 기타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해, 추가 평가가 필요한 분야를 위한 추가 자료를 신청자에게 요청하거나(예: 보다 상세한 독성 연구보고서, 보다 정확한 노출 관련 자료 또는 대규모로 진행된 효력 시험 관련 자료), 제시된 제품의 용도를 제한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완화 조치에는 잠재적 노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허용 사용량을 낮추거나, 수자원 보호를 위한 사용 조건으로서 지표수 부근에 완충지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보호복을 입도록 요구하는 방법도 포함될 수 있다. 등록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순차적 혹은 단계적 평가를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이는 각 사례에 기초하여 어떻게 자료 및 정보 요구사항이 바뀔 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단계적 평가와 자료 요구사항을 적용할 때에는 많은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결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만이 신청자에 의해 제출되고 책임 기관에 의해 평가되기에, 신청자와 책임 기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이 접근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신청자와 책임 기관 간에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이 있어야 한다.
Italian to Korean: Traduzione da italiano a coreano
Source text - Italian
Mentre si allestisce nel Museo Nazionale delle Arti e Tradizioni Popolari la mostra “Spiritual-Hanji. Capolavori in carta di gelso dell’artigianato coreano”, esce in libreria il volume di Michel Pastoureau, I colori dei nostri ricordi (Milano, Ponte delle Grazie, 2011). Il professore della Sorbona, massimo esperto mondiale di colori, ripercorre le tappe della propria esistenza per capire e raccontarci dove e quando i colori hanno fatto irruzione nella sua vita. Ebbene, immagino che Pastoureau sarebbe felice di visitare questa mostra per la preziosità e varietà degli oggetti, ma soprattutto per la straordinaria ricchezza e vivacità dei colori, un tripudio da far invidia all’arcobaleno o alla tavolozza di un pittore. La carta hanji (Handmade Paper from the Bark of the Mulberry Plant) gioca un grande ruolo nelle arti e nell'artigianato tradizionale coreano. Essa, prodotta principalmente con la pianta del “gelso della carta” (Broussonetia kazinoki), è famosa per la sua qualità fin dai tempi più antichi nei paesi confinanti, Cina e Giappone. È anche così strettamente collegata con la vita di ogni giorno dei coreani da essere elencata come uno dei “quattro amici necessari per lo studio” (la carta, il pennello per scrivere, l'inchiostro e il calamaio). Per i coreani è stata molto importante da sempre ed è un patrimonio culturale prezioso da far conoscere al mondo e che dovrebbe essere conservato intatto per le generazioni future. Questo è il fine di questa bella mostra che, presentando oggetti di grande interesse, ci racconta i metodi di produzione, l’utilizzo in svariati campi ed attività, lo stretto legame con la vita culturale e religiosa della Corea, fin dai tempi antichi. Di questo sono grata ai promotori Hanji Development Institute e Wonju Hanji Themepark, all’Ambasciata della Corea e a tutto il personale del Museo che hanno consentito la realizzazione dell’iniziativa. L’Istituto Centrale per la Demoetnoantropologia innovativo per tematica, metodi e impianto organizzativo è l’unico delegato alla rilevazione della "cultura materiale e immateriale" del paese: superando la tradizione logica di tutela e conservazione del bene culturale, propone un nuovo modello di osservazione della realtà antropologica su scala nazionale in grado di favorire la creazione di una rete di esperienze di ricerca ed attività progettuali e pervenire alla costituzione di una conoscenza condivisa che, attraverso lo studio sistematico, organizzi, gestisca e diffonda le informazioni. Attraverso iniziative come la mostra sulla carta di gelso e l’artigianato coreano l’Istituto volge il suo sguardo ad altri mondi, culture e realtà, potenziando ed estendendo l’offerta culturale, con particolare attenzione ai giovani e alla scuola.
Translation - Korean
뽕나무 종이로 만들어진 걸작이자 한국의 수공예품인 한지의 전시회를 국립예술대중전통박물관에서 개최하기 위해 준비하는 동안 미셸 파스투로(Michel Pastoureau) 교수가 쓴 서적 (밀라노, 폰테 델레 그라찌에 출판사, 2011년)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색채에 관한 한 세계적 전문가인 소르본대학 교수 파스투로 씨는 자신의 생애를 통해 어디서 그리고 언제 색채에 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스스로가 깨닫고 또 우리에게 설명해주기 위해 자기가 살아온 과정을 뒤돌아보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파스투로 교수가 언급 드린 한지 전시회에 와보면 한지의 위대한 가치와 다양성은 물론, 무엇보다도 그 어떤 화가의 작품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색채가 엄청 풍부하고도 생동감이 있다는 것을 알고 기뻐할 것입니다. 뽕나무 껍질을 사용해서 손으로 만드는 종이인 한지는 한국의 예술작품과 전통 수공예작품의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종이 제작용 뽕나무(학명: Broussonetia kazinoki)를 사용해서 만드는 한지는 중국 및 일본과 국경을 이루고 있던 가장 오래된 고대국가 시절부터 그 높은 품질로 인해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또한, 한지는 ‘문방사우 – 종이, 붓, 먹, 벼루’ 중의 하나에 포함될 정도로 한국인들의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한지는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항상 매우 중요했을 뿐만 아니라 세상에 알려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미래 세대를 위해 온전히 전수해야 할 유산입니다. 언급 드린 한지 전시회를 개최하는 목적은 바로 상당한 관심의 대상인 한지를 소개하며 고대시대로부터의 한지 제작방법과 다양한 분야 및 활동에 있어서의 이용법, 한국인의 문화 및 종교적 삶과의 긴밀한 관계를 설명해주는 것입니다. 저는 이와 관련하여 한지개발원과 원주한지테마파크, 한국대사관, 그리고 한지 전시회의 개최에 동의해주신 박물관의 모든 직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민중인종인류학중앙연구원은 연구원이 다루는 분야와 방법, 조직체계에 있어서 혁신적일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의 유형문화 및 무형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조사하는 권한을 위임 받은 유일한 단체입니다. 민중인종인류학중앙연구원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는 전통을 넘어서 연구 및 기획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해당 정보를 정리하며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는 지식의 공유까지도 가능케 할 수 있는, 인류학적 현실을 관측하는 새로운 모델을 국가적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뽕나무 종이 및 한국 수공예품에 관한 전시회와 같은 활동을 통해 본원은 청소년층과 학교들에 대한 특별한 배려를 하는 가운데 문화 관련 사업을 강화하고 확대해나가면서 다른 세상과 문화, 현실에도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Korean to Italian: Traduzione da coreano a italiano
Source text - Korean
학문의 진실

학문에 있어서 진실
불행하게도, 한 나라가 다른 나라를 지배하게 될 때, 처음으로 잃어버리는 것은 진실이다.한 나라를 지배하는 나라가 그 나라의 역사 또한 지배하는 것도 사실이다.그러한 경우는 일본이 한국을 강제 점령했을 때(1910년부터 1945년) 발생했다.
19세기 후반에 조선왕조, 일본은 한반도를 대일본제국이라는 이름 아래 설계했다. 이는 한국을 식민지화하고 다른 나라를 합병하기 위한 방안이었고, 이를 위해서 일본은 과거에도 그 나라를 점령했었다는 역사적인 전례를 세우는 것이 필요했다.
그래서 일본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에서부터 터무니 없는 거짓말까지 광범위하게 한국 역사를 바꾸어버렸다. 이와 같은 터무니 없이 왜곡된 내용은 문서화가 되었고, 많은 서양학자들은 여전히 그러한 왜곡된 한국역사를 사실로서 받아들이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을까? 한국인이 서양에 문호를 개방한 때는 미국의 조약에 서명한 이후인 1882년이다. 이것은 일본과 관련해서 볼 때 기술적으로 불평등한 조약이었다. 일본은 한국보다 30년 앞서 문호를 개방했고 서양의 기술과 근대화를 속히 받아들였다 반면에 과거 수세기 전에는 일본의 큰 형 역할을 했던 한국은 저물어져 가는 조선왕조와 더불어 쇠약해져 같다. 서양에 알려진 한국에 대한 많은 소개 부분은 일본이 한국의 정보를 지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한국이 일본에 의해 합병과 식민지가 되었을 때 일본이 작성된 한국의 역사는 돌에 박힌 사실처럼 받아들여 졌다.
한국에 대한 잘못된 부분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아마 가장 큰 부분은 ‘임나’, 한국인들에게 ‘임나일본부’로 알려진 내용일 것이다. 실제로, 임나는 삼국시대에 한반도의 남쪽, 부산지역이 있었던 무역 거점 이상의 것이 아니었다. 일본역사에 의하면, 임나는 가야 연방의 영토를 반영하는 것으로 소개된다. 일본인은 신라왕조까지도 점령한 것처럼 소개하기까지 한다.
실제로, 가야, 백제와 동맹한 일본인은 돈에 따라 움직이는 해적이나 다름없었다. 그 당시 일본은 중앙 정부가 없었고, 심각한 봉건 문제들을 안고 있었다. 그것이 왜 일본정부가 다른 나라를 대상으로 군사적인 점령을 할 수 없었는지를 보여주는 이유이다.
실제로 고고학, 역사적 증거가 그것을 보여준다. 한국은 일본 황실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물론 그것은 넓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일본에서 논의가 되고 있다.
일본은 16세기 후반 히데요시 집권기에 한국에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해군에서 패함과 일본 국내에서의 정치적 격변으로 포기했다. 비교적 평화가 다음 2세기 반 동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일본은 여러 번 한국에 영향을 행사하고자 했지만 여러 차례 좌절되었다.
대원군( 한국의 고종황제의 아버지)이 물러난 후에 일본은 마침내 그 기회를 얻었다1875년 일본은 한국을 공격했고, 1876년에 한국과 조약을 체결했다. 몇 년 후에 서양의 나라들이 한반도를 분할하여 영향권을 행사했다.한국에 대한 중국의 영향권도 종결되었다. 그리고 한국은 국제 지정학적인 전당이 되었다.
1905년, 미국이 일본과 가쓰라 테프트 조약, 미국이 필리핀을 점령하는 조건으로 일본의 한반도 점령을 인정한다는 조약을 체결할 때 한국의 슬픈 운명은 예견되었다. 고종황제가 1907년 헤이그에서 열렸던 평화 회의에서 한국을 향한 일본의 공격적인 정책을 전세계에 알리려고 노력했을 때, 일본은 고종황제를 강제적으로 권좌에서 물러나게 했다. 한국은 주권이 존재하지 않는 국가로 가는데 한걸음 더 접근했다.

그때부터 한국은 외국에 한국의 바른 역사를 알릴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일본은 한국을 지배했고, 또한 한국의 역사도 지배했다. 일본인이 한국역사를 완전히 새로 다시 작성했을 때, 한국인은 그들 자신도 일본에 의해 왜곡된 한국역사를 배우기를 강요당했다.
다행히, 한국인은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그렇게 쉽게 포기하지 않았다. 비록 많은 기록이 손실되고 파괴되었지만, 다른 많은 것은 복원되었지만. 여전히 외국의 한국에 대한 인식과 역사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진행 중이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으로 군사를 잃어버렸을지라도 경제적으로 학문적으로는 전쟁에서 이겼다. 일본은 서양의 도움으로 서둘러 재건했다. 반면에 한국은 대부분 혼자 힘으로 일어서야만 했다. 한국은 세계의 나라로부터 후진국으로 인식되어왔고, 반면 일본은 아시아의 애인, 서양의 나라로부터 환영 받는 나라로 간주되어왔다.

2차 세계대전 이후 5년 후에 한반도에서 발생한 동족상잔의 전쟁은 한국에 대한 서양학자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어떠한 도움이 되지 않았다. 영어로 된 한국에 대한 역사는 일본에 의해 작성된 것이 유일했다. 그리고 그것들은 사실로서 받아들여졌다. 한국역사학자들은 한국에 대해 영어로 출판할 기회를 가지지 못했었다. 그리고 그들이 마침내 그것을 하고자 했을 때는 이미 일본판 출판물이 서양사회에서 확고히 자리를 잡은 이후였다.

오늘날 , 일본판 한국역사가 많은 서양의 교육기관에서 사실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한국의 역사에 대해 서양의 학자들과 논쟁을 벌여왔다.

다행히 한국의 진실된 역사를 세계에 교육하자는 과제를 많은 학자들에게 진지하게 받아들여졌다.
Wontack Hong 씨의 책( 백제와 일본 야마토의 기원)이 그 좋은 예이다.
그 책은 아래 온라인상에서도 볼수 있다
http://gias.snu.ac.kr/wthong/publication/paekche/eng/paekch_e.html
최근에 내가 알게 된 단체,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그들은 그들의 웹사이트에 소개된 대로 사이버 상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는데 헌신적인 기관이다. 희망적인 것은, 반크의 노력으로, 그리고 세계 학자들의 노력으로 한국의 진실된 역사는 전세계에 널리 알려질 것이다.

Thomas Duvernay 교수
Translation - Italian
La verità della scienza

La verità nella scienza
Quando un Paese ha il dominio di un altro paese, sfortunatamente la prima cosa che viene distorta è la verità. È pure vero che il paese che domina un altro paese domina anche la storia di quel paese colonizzato. È successo proprio così quando il Giappone ha occupato la Corea con la forza. Il dominio giapponese sulla Corea è cominciato nel 1910 e finito nel 1945.
Alla fine del 19mo secolo, il Giappone invade la penisola coreana, governata dalla dinastia Yi, ed incomincia a falsare la storia coreana in nome dell’Impero del Grande Giappone. Questo era proprio per colonizzare totalmente la Corea e occupare anche altri paesi con la forza. Per questo scopo, il Giappone aveva bisogno di presentare evidenze antecedenti che potevano testimoniare il fatto che quei paesi inclusa la Corea erano già stati sotto il dominio giapponese. Ma, quelle evidenze non erano mai esistite poiché tutto era una storia falsata dai giapponesi.
Ciò nondimeno, il Giappone ha rimpiazzato una larga parte della storia coreana cominciando a distorcere i fatti storici del paese fino a produrre le bugie abominevoli e incredibili. Questa storia così tanto distorta è stata documentata, il che ha fatto ritenere gli studiosi occidentali ancora che quella storia falsata dai giapponesi sia coincidente alla vera.
Come può succedere una cosa del genere? I coreani hanno aperto il loro paese agli occidentali nel 1882 dopo aver firmato il trattato di pace con gli americani. Paragonato ad un precedente accordo che questi avevano firmato con i giapponesi, il trattato fra la Corea e gli USA era una convenzione spiccatamente unilaterale. 30 anni prima dell’apertura della Corea, i giapponesi avevano già aperto il loro paese e hanno modernizzato il paese imparando le tecnologie occidentali. D’altronde, la Corea che era stata considerata come il fratello maggiore del Giappone diversi secoli prima si è indebolita con la caduta della dinastia di Joseon. Una grande parte delle introduzioni sulla Corea che si poteva trovare nei paesi occidentali era stata falsificata dai giapponesi che volevano sempre controllare le informazioni sulla Corea al loro vantaggio. Quando il Giappone ha occupato e poi colonizzato la Corea, la storia del popolo coreano inventata dai giapponesi era accettata come una storia indubitabilmente vera.
E allora, quali aspetti della Corea che sono noti agli stranieri sono falsati? Probabilmente la storia di “Imna” che è conosciuto ai coreani come “Imnailbonbu” sarà la cosa peggiore. Infatti, “Imna” era solamente un posto centrale di commercio che si trovava a sud della penisola coreana, vicino a Busan, durante l’epoca dei Tre Regni. Ma, secondo la storia giapponese stranamente Imna coincideva con il territorio del regno di Gaya. I giapponesi presentano la storia coreana dicendo anche che la dinastia del regno di Shilla era stata sotto il dominio dei loro antenati.
Ma, contrariamente alle loro pretese, i giapponesi che erano alleati ai regni di Gaya e di Baekje non erano molto differenti dai pirati che si interessavano dei soldi prima di tutto. In quell’epoca, non c’era il governo centrale in Giappone e il paese aveva problemi gravissimi che emergevano dal feudalesimo. Proprio questo fatto fa vedere chiaro e tondo perché il Giappone non poteva occupare gli altri paesi mobilitando le sue forze armate in quel periodo.
I fatti archeologici ed evidenze storiche confermano che la storia presentata dai giapponesi è del tutto falsa. La Corea ha contribuito molto alla fondazione della famiglia imperiale giapponese. È vero anche che non molti ci credono, ma ora si stanno sviluppando intense discussioni sul fatto storico.
Alla fine del 16mo secolo, durante l’epoca del dominio di Hideyoshi, il Giappone ha tentato di fondare una base solida in Corea per preparare la loro futura invasione. Però, siccome le sue marine militari erano state sconfitte da quelle coreane e c’erano rapidi cambiamenti politici nell’arcipelago del Giappone all’epoca, doveva rinunciare a quell’idea. Paragonato ai tempi precedenti, un’atmosfera più pacifica è stata in Giappone nei successivi 2 secoli. Pure durante quei periodi i giapponesi hanno tentato invano di influire sulla Corea diverse volte.
Dopo che Daewongun, il padre del re Gojong, si era ritirato dalla reggenza, finalmente il Giappone ha potuto cogliere l’opportunità di invadere la Corea. Nel 1875, il Giappone ha attaccato la Corea e in seguito l’anno successivo è riuscito a concludere un trattato di pace con la Corea. Dopo qualche anno, i paesi occidentali hanno diviso la penisola coreana e hanno esercitato il loro influsso sul paese. Allo stesso tempo, era finita l’epoca in cui i cinesi influivano sulla Corea. Di conseguenza, la Corea ormai era già un paese importantissimo da un punto di vista geopolitico.
Nel 1905, il doloroso destino della Corea era già prevedibile quando fu siglato quell’accordo “Taft-Katsura”che riconosceva l’occupazione e il dominio nipponico sulla Corea in cambio del non intervento giapponese nelle Filippine, queste ultime, vittime degli interessi statunitensi. Oggigiorno, l’accordo “Taft-Katsura” è presentato come scambio di note confidenziali tra gli USA e il Giappone, il tipico accordo criminale per la dominazione imperialista della nazione coreana. I giapponesi hanno fatto al re Gojong rinunciare al trono per forza dopo aver saputo che lui aveva mandato i suoi messaggeri segreti alla Convenzione di Hague per far sapere a tutto il mondo l’ingiustizia dell’aggressione politica che i giapponesi adottavano per dominare la sua nazione. Dopo di che, la Corea si è sempre più avvicinata alla situazione in cui l’esercitazione della sua sovranità non era quasi possibile.

Da quel tempo, i coreani non potevano avere possibilità di fare conoscere agli altri la loro vera storia. Il Giappone dominava la Corea e pure la storia coreana veniva dominata. Quando i giapponesi hanno finito di inventare una storia totalmente diversa da quella vera, i coreani erano per forza costretti ad imparare la storia distorta dai giapponesi della loro nazione.
Però, meno male che i coreani non hanno rinunciato così facilmente a fare sapere la verità al mondo esterno. Sebbene tantissimi documenti siano stati danneggiati e distrutti, un’altra gran parte delle documentazioni è stata recuperata fino ad oggi. Nondimeno, gli sforzi da parte dei coreani di cambiare la comprensione sbagliata degli altri per quanto riguarda la Corea e la sua storia stanno ancora continuando.

Dopo la seconda guerra mondiale, il Giappone non è stato più una nazione militarmente forte come era in passato, ma in un altro senso non è stato un paese sconfitto nella sua storia. Cioè, anche se il Giappone è stato un paese sconfitto militarmente, ha vinto la guerra economica e quella culturale in un certo senso. La ricostruzione del Giappone dopo la guerra è avvenuta comparativamente in un breve tempo con l’aiuto dei paesi occidentali. Contrariamente, la Corea ha dovuto risolvere da sola quasi tutti i problemi gravissimi nel dopo liberazione e nel dopoguerra. La Corea era conosciuta da quasi tutti del mondo come un paese sottosviluppato, mentre il Giappone un paese quasi sempre benvenuto dai paesi occidentali.

La guerra coreana che era scoppiata nella penisola omonima 5 anni dopo il termine della seconda guerra mondiale non ha potuto mai contribuire a cambiare la compresione degli studiosi occidentali riguardo alla Corea. Tutti i documenti e libri storici scritti in inglese sulla Corea erano opere dei giapponesi. E, tutti quei materiali erano considerati come vere fonti storiche. Gli studiosi coreani di storia non hanno potuto trovare possibilità di pubblicare materiale sulla Corea in inglese. Anche quando loro hanno voluto finalmente dedicarsi alla pubblicazione dei dati storici veri, già le pubblicazioni giapponesi occupavano posizioni affermate nelle società occidentali.

Purtroppo, al giorno d’oggi, la storia distorta dai giapponesi della Corea è accettata come la vera da molti istituti di educazione nel mondo occidentale. Io, personalmente, ho discusso molto sulla storia della Corea con diversi studiosi occidentali.

Per fortuna, la mia asserzione che si deve insegnare la vera storia della Corea agli altri nel mondo è stata accettata da molti studiosi.
Il libro “Baekje della Corea e l’origine di Yamato, Giappone” di Hong Won-tack è una buona fonte di informazione sulla storia coreana. Si possono trovare relative informazioni anche sul sito http://gias.snu.ac.kr/wthong/publication/paekche/eng/paekch_e.html
Il VANK, un cyber-corpo diplomatico, che ho conosciuto recentemente è un’organizzazione che si dedica totalmente al miglioramento dell’immagine della Corea nel cyber-mondo come si presenta nel suo sito web. Come è auspicabile, in virtù degli sforzi del VANK e degli studiosi di diversi paesi la vera storia della Corea sarà conosciuta a tutto il mondo presto.

Prof. Thomas Duvernay,
Università Dongguk, Seoul, Corea del Sud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22. Registered at ProZ.com: Dec 2007.
ProZ.com Certified PRO certificate(s) N/A
Credentials English to Korean (Aladin Communication Corporation)
Memberships N/A
Software Adobe Acrobat, Adobe Photoshop, Microsoft Excel, Microsoft Word, Wordfast
Website http://yclairvoyant.wixsite.com/natural-translation
Bio
*** English-Korean-Italian multilingual translator ***
Officially designated translator of the Embassy of Italy in Seoul, South Korea
Multi-direction perfection-oriented translations
High Quality Translation Service for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talian legal/corporate documents
...............................................................................................................................................................................................................


All kinds of professional translation, interpretation, proofreading, reviewing, editing and other services in the Italian-Korean-English language pairs.
One of the most reliable and qualified services will be guaranteed by a perfection-oriented professional translator/interpreter/linguist who is renowned for his own high quality.
* Specialized fields: General parts, social science, linguistics, politics, business, history, education, localization, marketing, religion, philosophy, legal documents, international standards, IT, Books, Publishing, etc.

For any translation services, please feel free to contact me anytime you need.
My contact information is as follows:
E-mail: [email protected]
Phone: +82 10 9907 0358
...............................................................................................................................................................................................................


Si può contattarmi per ogni informazione e/o necessità riguardo ai miei servizi delle combinazioni linguistiche italiano-inglese-coreano.
* Campi specializzati: Tutti i documenti/testi, scienze sociali, religioni, filosofia, lingue, politica, affari, documenti(atti) societari/finanziari, educazione, storia, scienze umane, documenti legali, localizzazione, standard internazionali, IT, Libri, Editoria, ecc.

Sentitevi liberi di contattarmi per qualsiasi richiesta riguardante la traduzione italiano-inglese-coreano.
Le mie informazioni di contatto sono:
E-mail: [email protected]
Telefono: +82 10 9907 0358
...............................................................................................................................................................................................................


Homepage: http://www.italiankoreantranslation.com/ http://hclairvoyant.wordpress.com/
This user has earned KudoZ points by helping other translators with PRO-level terms. Click point total(s) to see term translations provided.

Total pts earned: 8
(All PRO level)


Top languages (PRO)
English to Korean4
Korean to English4
Top general fields (PRO)
Other4
Medical4
Top specific fields (PRO)
Other4
Chemistry; Chem Sci/Eng4

See all points earned >

This user has reported completing projects in the following job categories, language pairs, and fields.

Project History Summary
Total projects1
With client feedback1
Corroborated1
100% positive (1 entry)
positive1
neutral0
negative0

Job type
Translation1
Language pairs
Italian to Korean1
Specialty fields
Law: Contract(s)1
Other fields
Keywords: Religion, Philosophy, general parts, social science, linguistics, politics, business, history, education, localization. See more.Religion, Philosophy, general parts, social science, linguistics, politics, business, history, education, localization, legal documents, international standards, 일반 번역, 철학, 종교, 교육, 경제, 언어, 정치, 비즈니스, 역사, 인문, 교양, 서신, 사회과학, 법률, 국제표준(규격), religioni, sociologia, filosofia, generali, lingue, politica, affari, educazione, storia, scienze umane, documenti legali, localizzazione. See less.


Profile last updated
Nov 1, 2020



Mor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English to Korean - Italian to Korean - Korean to English   More language pairs